부동의 베스트셀러
《오십에 읽는 논어》개정 증보판
출간 5년, 100쇄 돌파, 20만 부 판매. 《오십에 읽는 논어》는 수많은 독자의 공허함을 따뜻하게 껴안으며 사랑받은 책이다. 그 책이 새로운 구성으로 돌아왔다. 고전은 낡지 않는다. 다만 시대에 맞게 다시 읽혀야 한다. 《논어》가 시간이 흐르며 편집되고 증보된 것처럼 이번 개정 증보판도 오늘의 오십에 맞춰 새롭게 숨 쉬는 고전으로 거듭났다. 기존 《논어》 50수에 오십의 현실적인 고민을 담은 새로운 10수를 더해 공자의 지혜가 지금의 삶에 더 가까이 닿도록 구성했다.
그런데 왜 《논어》를, 그것도 오십에 읽어야 할까? 오십은 이미 오랜 길을 걸어왔지만 여전히 갈 길이 많이 남아 있는 시기다. 그런데 이때 삶은 오히려 더 막막해진다. 돈도, 건강도, 관계도 흔들리고, 지금 가는 이 길이 맞는지 헷갈리기 시작한다. 마흔까지는 핑계를 댈 수 있었지만 오십부터는 그렇지 않다. 이제는 방향의 문제다. 저자 최종엽은 1,000회 넘게 《논어》를 강의했다. 그는 말한다.
“《논어》는 특별한 사람을 위한 책이 아니라 평범한 우리가 평범한 하루를 살아가며 읽어야 할 책이다.”
그는 그 믿음으로 공자의 메시지를 오십의 삶에 맞는 실천적 언어로 다시 전한다.
공자는 “나의 길은 하나로 꿰어 있다(吾道一以貫之)”라고 말했다. 삶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고 그 방향은 일관된 기준에서 나온다. 오십 이후 삶을 바꾸고 싶다면 어떤 길을 내 삶의 중심으로 삼을지 먼저 정해야 한다. 《오십에 읽는 논어》는 그 물음 앞에 선 이들에게 흔들리지 않고 걸어갈 인생의 방향과 중심 철학을 제시한다.
이제 인생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논어》는 공자가 직접 쓴 책이 아니다. 공자와 제자들이 함께 밥을 먹고, 길을 걷고, 삶을 나누며 주고받은 대화가 쌓여 만들어진 기록이다. 그래서 《논어》는 철학서라기보다 ‘사람의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논어》가 수천 년을 지나 오늘날에도 여전히 읽히는 이유는 그 안에 삶을 다시 붙들게 만드는 일상적인 말들이 있기 때문이다. 《오십에 읽는 논어》는 이를 오십이라는 시간에 맞춰 다시 꿰어 낸다.
지금의 오십은 그동안 달려온 속도를 잠시 멈추고 앞으로 어디로 나아갈지를 다시 묻는 시점이다. 앞만 보고 책임과 역할에 치여 ‘왜’라는 질문을 미뤄둔 채 살아온 시간이 쌓여 오십이 됐다. 하지만 인생은 마라톤이 아니다. 오래 달렸다고 해도 방향이 어긋났다면 다시 돌아가야 한다. 그래서 지금 필요한 건 빠른 속도가 아니라 제대로 된 방향이다. 《논어》는 그 방향을 묻고, 다시 세우고, 매일의 실천으로 이어가게 만든다.
“멀리 생각하지 않으면 늘 가까이에 근심이 있다(人無遠慮 必有近憂).”
“사람은 타고난 본성은 비슷하지만, 반복하는 것에 따라 전혀 달라진다(性相近也 習相遠也).”
“도에 뜻을 두고 덕에 근거하며 인을 의지하고 예에 놀아라(志於道 據於德 依於仁 游於藝).”
공자의 문장들은 삶을 살아가는 중심축이 된다. 이 책은 그 기준을 오늘의 오십이 실천할 수 있는 방식으로 풀어낸다.
《오십에 읽는 논어》는 고전을 삶의 기준으로 다시 세운 책이다. 그래서 《논어》가 마냥 오래된 말처럼 다가오지 않는다. 우리는 책을 읽으며 스스로에게 묻는다. “나는 어떤 기준으로 무엇을 반복하며 살고 있는가?” 공자는 라고 말했다. 이 책은 그 반복을 새롭게 선택할 수 있게 돕는다. 기준을 세우고, 방향을 잡고, 그것을 지속할 수 있게 이끌어 준다.
20만 명이 선택한
공자의 말 60수
개정 증보한 《오십에 읽는 논어》는 기존 50수에 10수를 더해 6강 60수로 재구성됐다. 흐름, 강점, 노력, 이유, 마음, 태도, 예의, 선택, 정의, 전환까지 삶의 여러 국면에서 지금의 오십이 실제로 마주하는 주제들을 중심으로 내용을 보완했다. 각 수는 짧은 공자의 말과 이야기로 시작해 퇴직 이후의 삶, 부모 부양과 자녀 독립, 관계 속에서 나를 지키는 문제까지 오십 이후 흔들리는 삶을 비춘다.
공자는 서른에 확고하게 섰으며(而立), 마흔에 흔들리지 않았고(不惑), 오십에 천명을 알았다(知天命)고 했다. 자신의 길을 스스로 깨달았다는 말이다. 지금 우리의 오십은 더 흔들리고, 더 불안하다. 하지만 공자가 그랬듯 지금부터라도 내가 원하는 삶의 방향을 정하고 일관되게 걸어야 한다. 그렇게 《논어》의 말은 오늘의 우리에게도 길이 된다. 기준 없이 흔들리는 시대에 《논어》는 삶의 중심축이 된다.
이 책은 그 차이를 만드는 하나의 힘이 된다. 《논어》의 문장을 곁에 두고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삶은 서서히 달라진다. 그 차이는 지금이 아니라, 십 년 후의 표정과 태도, 말과 관계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삶의 하프 타임을 지나는 오십, 무엇을 기준 삼아 살아갈지 고민하는 이들에게 《논어》는 여전히 유효한 지혜다. 흔들리는 세월에도 중심을 잃지 않고 살고 싶다면, 굽이치는 인생을 다잡고 싶다면, 오십에 느끼는 공허와 가벼움을 채우고 싶다면 《오십에 읽는 논어》는 반드시 곁에 둬야 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