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정보로 건너뛰기
1 1

변신(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변신(일러스트와 함께 읽는 세계명작)

프란츠 카프카 / 문학동네 /

정가 €12,10
정가 할인가 €12,10
할인 품절
세금이 포함된 가격입니다. 배송료는 결제 시 계산됩니다.
수량
  • 70유로 구매시
  • 독일내 무료배송
  • 유럽 모든국가 7유로 배송비 지원
전체 세부 정보 보기

기본 정보

137쪽 | 188 x 222mm | 340g | ISBN:9788954600200 | 소설


도서정보

서평 이미지

축소 가능한 콘텐츠

도서소개

밀란 쿤데라는 카프카의 작품을 두고 '검은색의 기이한 아름다움'이라 표현했다. <변신>은 쿤데라의 이러한 표현에 더없이 적합하다. 카프카는 모든 것이 불확실한 현대인의 삶, 출구를 찾을 수 없는 삶 속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불안한 의식과 구원에의 꿈을, 군더더기 없이 명료하고 단순한 언어로, 기이하고도 아름답게 형상화한다.

발표된 지 90년, 1950년 이래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도 반백년이 넘은 <변신>의 번역본이야 수도 없이 많지만 이번에 출간된 <변신>은 삽화가 특히 돋보인다. 아르헨티나의 유명한 아티스트 루이스 스카파티의 삽화는 <변신>의 한 장면 한 장면을 더없이 '카프카적'으로 그려내는데 성공했다.

다른 색을 전혀 쓰지 않고 검은색으로만 처리한 이 삽화들은, <변신> 뿐 아니라, 카프카의 문학세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목차

출판사 서평

어느 날 아침 그레고르 잠자가 불안한 꿈에서 깨어났을 때 그는 침대 속에서 한 마리의 흉측한 갑충으로 변해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 그는 철갑처럼 단단한 등껍질을 등에 대고 누워 있었다. 머리를 약간 쳐들어보니 불룩하게 솟은 갈색의 배가 보였고, 그 배는 다시 활 모양으로 휜 각질의 칸들로 나위어 있었다. 이불은 금방이라도 주르륵 미끄러질 듯 둥그런 언덕 같은 배 위에 가까스로 덮여 있었다. 몸뚱이에 비해 형편없이 가느다란 수많은 다리들은 애처롭게 버둥거리며 그의 눈앞에서 어른거렸다. ‘이게 대체 어찌된 일일까?’ 그는 생각했다. 꿈은 아니었다. _본문에서

한 남자가 있다. ……어느 날 아침, 그는 벌레가 되어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저 타성처럼 살아가며 정말 내 삶이 단지 그냥 한 마리 벌레보다 나은 게 무엇인지 간혹 섬뜩한 공포로 다가온다. 그런 맥락에서 카프카의 「변신」은 단지 기괴한 이야기만은 아니다. 인간 실존의 허무와 절대 고독을 주제로 하는 「변신」은 바로 이렇게, 사람에서 벌레로의 ‘변신’을 말한다. 「변신」은 벌레라는 실체를 통해 현대 문명 속에서 ‘기능’으로만 평가되는 인간이 자기 존재의 의의를 잃고 서로 유리된 채 살아가는 모습을 형상화한다. 그레고르가 생활비를 버는 동안은 그의 기능과 존재가 인정되지만 그의 빈자리는 곧 채워지고 그의 존재 의미는 사라져 버린다. 인간 상호간은 물론, 가족간의 소통과 이해가 얼마나 단절되어 있는가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_장영희(서강대 영문과 교수)

현대문학의 신화가 된 카프카의 불멸의 단편! 카프카의 소설 「변신」은 20세기 문학의 신화라 불린다. 그 이전까지 서양소설사에서 굳건하게 버티고 있던 리얼리즘의 성채는 「변신」 이후 요란한 파열음을 내며 균열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밀란 쿤데라는 카프카의 작품을 두고 ‘검은색의 기이한 아름다움’이라 표현했다고 한다. 카프카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그렇지만 「변신」은 쿤데라의 이러한 표현에 더없이 적합할 듯하다. 모든 것이 불확실한 현대인의 삶, 출구를 찾을 수 없는 삶 속에서 인간에게 주어진 불안한 의식과 구원에의 꿈 등을 「변신」에서 카프카는 군더더기 없이 명료하고 단순한 언어로, 기이하고도 아름답게 형상화하고 있다.

나는 마구간에서 말을 끌어내오라고 명령했다. 하인은 내 말을 못 알아들은 것 같았다. 나는 직접 마구간으로 가 말에 안장을 놓고 올라탔다. 멀리서 나팔 소리가 들려왔다. “뭔가?” 나는 물었다. 하인은 알지 못했다. 그에게는 들리지 않았던 것이다. 문 앞에서 하인은 나를 잡고 물었다. “어디로 가십니까?” “나도 몰라. 단지 여기를 떠날 뿐이야. 여기서 나가는 거야. 어디까지라도 가는 거야. 그렇게 하지 않으면 나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어.” “그럼 가실 데가 있으시군요?” 하인이 물었다. 나는 대답했다. “그럼, 물론이지. 방금 말하지 않았나. 여기서 나가는 것, 그것이 내 목표라고.” _프란츠 카프카, 「출발」

발표된 지 구십 년, 1950년 이래 우리나라에 소개된 지도 벌써 반백년이 넘은 「변신」의 번역본이야 수도 없이 많지만 이번에 문학동네에서 출간된 「변신」은 무엇보다 그 삽화가 돋보인다. 아르헨티나의 유명한 아티스트 루이스 스카파티의 삽화는 「변신」의 한 장면 한 장면을 더없이 “카프카적”으로 그려 보이고 있다. 다른 색을 전혀 쓰지 않고 검은색으로만 처리한 이 삽화들은, 「변신」뿐 아니라, 카프카의 문학세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늘 독자들로 하여금 자기 존재에 대해, 지금의 내 현실에 대해 새로운 의문을 던지게 만드는 작품 「변신」을 이해하는 데 이 책은 적잖은 도움이 될 것이다.

글쓴이

프란츠 카프카

1883년 7월 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속한 보헤미아 왕국(지금의 체코)의 수도 프라하의 유대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나 독일계 인문 중고등학교인 김나지움에서 교육받았다. 1901년 프라하의 독일계 대학인 카를 페르디난트대학교에 입학해 화학을 공부하다 법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한때 독문학에 관심을 두고 독문학을 전공하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그 무렵 평생의 벗 막스 브로트를 만나 교우하며 문학에 대한 열정을 더욱 키워갔지만 결국 가족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법학 공부를 이어가 1906년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1년간 법원에서 법률 시보로 실습하고 보험회사에 입사했다. 대학 시절부터 문학 창작에 뜻을 두고 단편소설과 산문을 집필해왔으나 고된 회사 업무로 글을 쓸 여력이 없을 정도가 되자 1908년 ‘보헤미아왕국 노동자재해보험공사’로 직장을 옮기고, 14년간 직장 생활을 하면서 낮에는 일하고 밤에는 글쓰기에 열중했다. 1917년 폐결핵 진단을 받은 후에도 계속 작품을 집필했으며 1922년 병의 증세가 악화해 직장에서 퇴직한 후 1924년 6월 3일 오스트리아 빈 근교의 요양소에서 세상을 떠났다. 카프카는 숨을 거두기 전 막스 브로트에게 자신의 유고를 모두 불태워달라는 유언을 남겼으나 브로트는 카프카의 많은 작품과 일기, 편지 등을 편집, 출판해 카프카의 삶과 문학 세계를 세상에 널리 알렸다. 주요 작품으로 〈변신〉 〈시골 의사〉 〈단식 광대〉 등 중단편과 장편 《실종자》 《소송》 《성》 등이 있다.

루이스 스카파티 (Luis Scafati)(그림)

1947년 아르헨티나 멘도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그림을 그리며 성장했고, 쿠요대학교에서 미술을 공부했다. 1972년 자신의 작품을 처음 출판한 이래, 아르헨티나뿐 아니라 헝가리, 이탈리아, 프랑스 등 각국의 매체에 작품을 싣거나 전시회를 열며 꾸준히 활약했다. 1981년 아르헨티나 최고의 화가에게 주어지는 ‘살론 나시오날 데디부호 그랑프리’를 받았다. 프란츠 카프카의 『변신』, 로버트 스티븐슨의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허먼 멜빌의 『필경사 바틀비』, 조너선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 커트 보니것의 『타이탄의 세이렌』, 레이 브래드버리의 『화씨 451』, 어슐러 K. 르 귄의 『어둠의 왼손』 등 수많은 문학 걸작을 섬세하고도 강렬한 자신만의 작풍으로 새롭게 탄생시켰다.

이재황(옮긴이)

서울대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안나 제거스의 망명기 문학과 그 미학적 기초」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신여대 연구교수 및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한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선임 연구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아주대 특임교수로 재직중이다. 옮긴 책으로 카프카의 『실종자』 『소송』 『성』 『아버지에게 드리는 편지』, 카를 야스퍼스의 『정신병리학 총론』(전4권, 공역), 안나 제거스의 『통과비자』 등이 있다.